Stock의 이해
반응형

7월 소비자물가 및 수출입동향

7월 소비자물가 전월대비 0.2% 상승

7월 소비자물가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1.5% 상승해 KB증권 예상 (0.2%, 1.5%)에 부합했다. 다만, 시장 예상 (전월대비 0.4%)에는 하회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상승, 전년동월대비로는 1.1% 상승에 그쳐서 전월 (1.2%)보다 상승세가 둔화됐다. 농축산물 가격 및 서비스가격이 전월대비 상승했으나, 일부 공업제품 가격이 하락해 전체 물가 상승을 일부 상쇄했다. 전월대비 물가상승률 기여도를 품목성질별로 보면, 상품가격 (0.07%p)과 서비스부문 (0.09%p)이 모두 상승했으며, 상품 가격 내에서는 농축산물 가격 상승 (0.10%p)을 공업제품 가격 하락 (-0.09%p)이 상쇄했다. 서비스 내에서는 개인서비스 (+0.10%p)가 주로 주도했다. 


7월 수출, 전년동월대비 6.2% 증가

7월 수출총액은 518.8억 달러를 기록해 6월 감소 (-0.09%)에서 증가로 전환했다 (전년대비 6.2% 증가). 이는 시장 예상치 (블룸버그 7.4%) 및 KB증권 (7.5%)를 하회했으나, 금액으로는 지난 9월에 이어 역대 2위의 수출금액을 달성했다. 일 평균 수출액은 21.6억 달러로 전월 (23.8억 달러)보다는 감소했으나, 전년대비 4.0% 증가했다. 13대 주요 수출품목 중 반도체, 일반기계, 석유화학, 석유제품, 철강, 컴퓨터 등 6개 품목은 전년대비 두 자릿수 증가하였으며, 총 10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은 3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돌파하였다. 지역별로는 중국, 일본, 중동, 중남미 등으로의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했으며, 아세안, 인디아로의 수출은 감소했다.


7월 수입, 전년동월대비 16.2% 증가

자본재 수입은 감소폭 확대 수입총액은 448.8억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6.2% 증가하여 시장 예상 (블룸버그 17.0%)과 KB증권 예상 (20.8%)을 하회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70.1억 달러로 전월 (63억 달러)보다 증가했다. 품목별 수입증가율로는, 1차 산품 (원자재)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원유수입 확대 (63.2%)로 전년대비 41.2% 증가했으며, 소비재는 쇠고기 (37.4%), 자동차 (21.1%) 등이 증가해 전년대비 16.0% 증가했다. 한편, 자본재 수입은 전월 (-18.9%)보다는 감소폭을 축소했으나 (-9.5%), 반도체 장비 수입 감소폭은 오히려 확대되었다 (-48.4%-> -68.6%). 


반도체 수출 증가율 둔화에도 수출경기 호조

낮은 물가는 3분기보다는 4분기 금리 인상 뒷받침 7월 물가와 수출은 모두 시장 예상을 하회했다. 수출은 여전히 500억 달러 이상을 상회하면서 견고했으나, 시장 예상을 하회해 하반기 수출 경기에 대한 우려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반도체 메모리 가격의 완만한 하락세와 지난해 높은 수출금액 증가율에 따른 기저효과로, 반도체 수출 증가율이 30%대 초반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선박 및 반도체 제외 수출은 전년대비 14.4% 증가해 (선박 제외 수출은 전년대비 17.6%), 미·중 무역 갈등 여파가 아직 반영되지 않은 것과 반도체 이외 품목들의 수출 증가율이 높은 점은 긍정적이다. 한편, 7월 물가가 KB증권 예상 수준에 머물러 기존의 물가상승률 전망 (3분기 1.4%, 4분기 2.0%, 연간 1.6%)을 유지한다. 특히, 8월에는 날씨 등 계절적 요인으로 전월대비 큰 폭 (0.5%)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나, 기저효과로 (지난해 8월 2.6%) 인해 7월보다 상승폭을 축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년대비 1.4 % 예상). 이는 KB증권의 연내 4분기 금리 인상 전망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 KB증권

728x90
반응형
일상의 유용한 Tip
반응형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지 51곳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지 51곳에 대해 이번 달부터 부지 매입, 설계, 착공 등 사업이 본격화되고 2022년까지 4조 4,160억 원 규모의 사업들이 추진된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이하 국토부)는 지난해 12월에 선정한 도시재생뉴딜 시범사업 68곳 중 51곳의 지자체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이 완료됨에 따라, 도시재생특별위원회*(위원장 이낙연 국무총리, 이하 ‘특위’)의 심의를 거쳐 국가 지원사항을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51곳의 재생계획은 쇠퇴한 구도심을 활성화시키는 중심시가지 및 근린재생사업이 27곳, 노후 주거지의 생활환경 개선하는 주거지재생 및 우리동네살리기 유형이 24곳이다.

▼도시재생사업지역


728x90
반응형
자동차/자동차 RECALL
반응형

Aventador & califonia 리콜

(주)에프엠케이에서 수입 판매하는 페라리 캘리포니아 등 5개 차종 78대에 대해 에어백(다카타)전개시 과도한 폭발압력으로 발생한 내부 파편으로 인하여 운전자 등에 상해를 입힐 가능성으로 리콜을 실시합니다.

해당 차량은 8월 2일부터 (주)에프엠케이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개선된 에어백)받을 수 있습니다.

람보르기니 LP700-4 엔진제어프로그램 오류 리콜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주)에서 수입판매한 람보르기니 Aventador LP700-4 coupe등 4개 차종 39대 엔진 제어 프로그램 오류로 공회전 상태에서 연료 공급 유량 조절장치(퍼지밸브)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여 주행 중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되어 리콜을 실시합니다.

해당 차량은 8월 3일부터 아우디폭스바겐 코리아(주)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BMW M5 연료레벨센서오류 리콜

비엠더블유코리아(주)에서 수입판매한 M5 153대는 연료탱크 내 연료레벨센서가 연료호스와의 간섭으로 인하여 정장적 작동이 되지않아 연료가 소진되더라도 계기판에 연료가 있는 것과 같이 표시되어 운전자가 잔여 연료량을 인지할 수 없어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것으로 확인되어 리콜을 실시합니다.

해당 차량은 8월 2일부터 비엠더블유코리아(주)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리콜대상 자동차

이번 리콜과 관련하여 해당 제작사에서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 및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시정방법 등을 알리게 되며, 리콜 시행전에 자동차 소유자가 결함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에는 제작사에수리한 비용에 대한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 자동차제작자등은 자동차관리법 제31조의2에 따라 결함 사실을 공개하기전 1년이 되는 날과 결함조사를 시작한 날 중 빠른 날 이후에 그 함을 시정한 자동차 소유자(자동차 소유자였던 자로서 소유 기간 중에 그 결함을 시정한 자를 포함한다) 및 결함 사실을 공개한 이후에 그 결함을 시정한 자동차 소유자에게 자체 시정한 비용을 보상하여야 함

ㅇ기타 궁금한 사항은 (주)에프엠케이(02-3433-0880),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주)(02-6181-1000), 비엠더블유코리아(주)(080-269-5181) 문의하면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728x90
반응형

'자동차 > 자동차 RECA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우디 보조냉각수펌프 리콜조치  (1) 2018.12.19
다임러, 만트럭 리콜  (0) 2018.12.18
BMW화재관련 리콜대상차량  (1) 2018.07.27
911 GT3 RS Recall  (0) 2018.07.19
알티마 토크컨버트 리콜&벤츠리콜  (0) 2018.06.27
1 ··· 60 61 62 63 64 65 66 ··· 120
블로그 이미지

일상의 도움이 되는.._$!__

주식부농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