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자동차판매량
반응형

BMW화재와 7월수입차 신규등록현황

BMW 화재소식과 함께 7월 수입차 등록 현황도 보고 되었습니다. 예상대로 BMW 520d모델은 판매량이 거의 반토막이 났습니다. 

하지만 벤츠와 함께 양강 체제를 견고히 지켜왔던 BMW이기에 다른 모델의 판매량은 큰 변화는 없는듯 합니다.

8월 수입차 등록현황이 나오면 이번 이벤트에 대한 소비자들의 직접적인 반응이 반영된 결과가 나올거라 생각됩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가 7월 수입차 신규등록대수가 전년 동월보다 12.0% 감소한 2만518대로 집계됐다고 6일 밝혔습니다. 

올해 누적대수는 16만627대로 전년 동기 누적 13만5,780대 보다 18.3% 늘었습니다. 

7월 브랜드별 등록대수는 메르세데스-벤츠 4,715대, BMW 3,959대, 폭스바겐 1,627대, 아우디 1,427대, 토요타 1,270대, 포드(링컨 포함) 1,033대, 랜드로버 1,007대, 미니 851대, 볼보 814대, 렉서스 741대, 혼다 704대, 크라이슬러(짚) 507대, 푸조 371대, 닛산 351대, 포르쉐( 321대, 재규어 225대, 인피니티 163대, 마세라티 151대, 캐딜락 147대, 시트로엥 102대, 벤틀리 21대, 롤스로이스 11대가 신규 등록 되었습니다.

수입차 7월등록 1위는 디젤게이트 사건과 관련하여 긴 공백을 깨고 돌아온 아우디 A6 35TDI모델이 974대로 가장 많이 신규 등록 되었으며, 2위또한 디젤게이트 사건이후 컴백한 폭스바겐의 영원한 스태디셀러인 티구안이 771대로 2위를 차지 하였습니다.

BMW 520D 모델은 6월 963대에서 약 45.7%감소한 523대를 기록하였습니다. 화재관련 이벤트가 7월에 일부 반영된 결과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BMW코리아측과 국토부의 늑장대응으로 인하여 더 많은 소비자의 마음이 돌아섰다고 판단이 되며 그 결과는 8월 수입차 등록현황에 반영되리가 생각됩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하여 가장 반사이익을 누릴 모델은 벤츠 E 클래스인듯 합니다. 오랫동안 라이벌관계를 유지하던 520d모델의 화재이슈로 인하여 당분간은 E클래스가 판매량을 대부분 흡수할거라 생각합니다.

BMW의 이번 사건 대응으로 보았을때 소비자의 대한 신뢰가 단 시간내에 회복되기에는 어려워 보입니다.

그리고, 디젤게이트 사건이후 더욱더 커지고 정갈한 이미지로 돌아온 티구안의 판매량 또한 지속될것으로 보입니다.

원래 인기 모델인 이유와 세련된 디자인으로 꾸준히 소비자로부터 선택을 받을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자동차
반응형

SM7전격 가격인하 Lpe 160만원인하

르노삼성자동차가 SM7의 가격을 전격 인하하였습니다. 가솔린 2개모델 100만원 인하와 장애인용 LPG모델에 대하여 160만원(택시/렌터카 제외)을 인하해 가성비를 더욱 강화하였습니다.

가솔린모델 같은 경우는 기존 V6 35트림가격이 3,789만원에서 100만원 내린 3,689만원에 판매하며, V6 트림역시 100만원 할인한 3,302만원에 판매하여 큰 메리트를 느끼지 못하겠지만, 장애인용 2.0 LPe트림의 판매가격은 160만원 대폭인하한 2,425만원으로 상당히 메리트 있는 가격으로 책정되었습니다.

준대형급인  SM7모델을 중형 LPG모델보다 저렴하게 구입할수 있다는 유혹은 쉽게 넘어갈 수 없을듯 합니다.

물론 2.0모델이긴 하지만 여러가지 편의사항 및 안전장치도 구비되었기에 Lpg모델을 구입할 수 있는 고객이라면 한번쯤은 구매 list에 넣어 두어 비교를 해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차량 기본 가격에 프리기프트팩과 파노라마선루프, 바이제노 어댑티브 헤드램프, 앞좌석 통풍시트 운전석메모리시트를 포함한 풀옵션 가격은 2688만원으로 가성비 좋은 차량임은 틀림없어 보입니다. 물론 2688만원은 개소세 인하하기 전 가격이라 개소세 할인혜택을 받으면 2600만원 초반에 구입이 가능합니다.

쏘나타의 경우 모던모델 가격이 2277만원으로 풀옵션으로 구성하면 2529만원이 됩니다. 프리미엄 트림으로 가격을 산정하면 2700만원이 넘어가는 가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LPG 차량을 구매할 수 있다면 SM7과, 소나타, K5등을 골고루 시승해 보면서 차량을 구매할 듯 합니다. 

물론 배기량이 2000cc로 동일하다고 하지만 차급은 차급이기에 중형과 준대형의 차이는 분명 존재한다고 판단됩니다.


르노삼성의 전격 가격인하 이유

르노삼성이 전격적으로 SM7에 대한 가격을 인하한 이유는 SM5클래식의 판매량이 절대적이라고 생각합니다.

SM6출시와 동시에 단종될거라는 예상을 뒤엎고 단일트림으로 가격을 인하하고 상품성을 개선해 판매하고 있는 SM5 클래식의 7월 판매량은 무려 921대의 판매고를 올렸습니다. 다른면으로 보면 르노삼성자동차의 마케팅의 성공이라고도 보여집니다.

SM6의 새로운 네이밍으로 사장될거 같았던 SM5를 가격+상품성개선으로 기존의 중형승용 line은 지키고 새로운 차급인 프리미엄 중형승용을 구현해 냈다는데 의의가 있어 보입니다.

SM5클래식의 판매고가 르노삼성에겐 많은 메시지를 던진듯 합니다. 

결국 소비자는 자신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할때 제품을 구매하기에 SM7또한 고객들에게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하여 판매고를 늘리려는 르노삼성의 속마음이 아닌가 싶습니다.


728x90
반응형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렉서스 NX300H  (0) 2018.08.10
코나 트림별 디젤 가솔린 가격비교  (1) 2018.08.08
벤츠 A-class연내 국내도입  (0) 2018.07.27
싼타페TM 디젤 2.0 VS 2.2  (0) 2018.07.16
볼트EV가격과 보조금혜택 알아보기  (0) 2018.07.09
Stock의 이해
반응형

7월 소비자물가 및 수출입동향

7월 소비자물가 전월대비 0.2% 상승

7월 소비자물가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1.5% 상승해 KB증권 예상 (0.2%, 1.5%)에 부합했다. 다만, 시장 예상 (전월대비 0.4%)에는 하회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상승, 전년동월대비로는 1.1% 상승에 그쳐서 전월 (1.2%)보다 상승세가 둔화됐다. 농축산물 가격 및 서비스가격이 전월대비 상승했으나, 일부 공업제품 가격이 하락해 전체 물가 상승을 일부 상쇄했다. 전월대비 물가상승률 기여도를 품목성질별로 보면, 상품가격 (0.07%p)과 서비스부문 (0.09%p)이 모두 상승했으며, 상품 가격 내에서는 농축산물 가격 상승 (0.10%p)을 공업제품 가격 하락 (-0.09%p)이 상쇄했다. 서비스 내에서는 개인서비스 (+0.10%p)가 주로 주도했다. 


7월 수출, 전년동월대비 6.2% 증가

7월 수출총액은 518.8억 달러를 기록해 6월 감소 (-0.09%)에서 증가로 전환했다 (전년대비 6.2% 증가). 이는 시장 예상치 (블룸버그 7.4%) 및 KB증권 (7.5%)를 하회했으나, 금액으로는 지난 9월에 이어 역대 2위의 수출금액을 달성했다. 일 평균 수출액은 21.6억 달러로 전월 (23.8억 달러)보다는 감소했으나, 전년대비 4.0% 증가했다. 13대 주요 수출품목 중 반도체, 일반기계, 석유화학, 석유제품, 철강, 컴퓨터 등 6개 품목은 전년대비 두 자릿수 증가하였으며, 총 10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은 3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돌파하였다. 지역별로는 중국, 일본, 중동, 중남미 등으로의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했으며, 아세안, 인디아로의 수출은 감소했다.


7월 수입, 전년동월대비 16.2% 증가

자본재 수입은 감소폭 확대 수입총액은 448.8억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6.2% 증가하여 시장 예상 (블룸버그 17.0%)과 KB증권 예상 (20.8%)을 하회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70.1억 달러로 전월 (63억 달러)보다 증가했다. 품목별 수입증가율로는, 1차 산품 (원자재)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원유수입 확대 (63.2%)로 전년대비 41.2% 증가했으며, 소비재는 쇠고기 (37.4%), 자동차 (21.1%) 등이 증가해 전년대비 16.0% 증가했다. 한편, 자본재 수입은 전월 (-18.9%)보다는 감소폭을 축소했으나 (-9.5%), 반도체 장비 수입 감소폭은 오히려 확대되었다 (-48.4%-> -68.6%). 


반도체 수출 증가율 둔화에도 수출경기 호조

낮은 물가는 3분기보다는 4분기 금리 인상 뒷받침 7월 물가와 수출은 모두 시장 예상을 하회했다. 수출은 여전히 500억 달러 이상을 상회하면서 견고했으나, 시장 예상을 하회해 하반기 수출 경기에 대한 우려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반도체 메모리 가격의 완만한 하락세와 지난해 높은 수출금액 증가율에 따른 기저효과로, 반도체 수출 증가율이 30%대 초반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선박 및 반도체 제외 수출은 전년대비 14.4% 증가해 (선박 제외 수출은 전년대비 17.6%), 미·중 무역 갈등 여파가 아직 반영되지 않은 것과 반도체 이외 품목들의 수출 증가율이 높은 점은 긍정적이다. 한편, 7월 물가가 KB증권 예상 수준에 머물러 기존의 물가상승률 전망 (3분기 1.4%, 4분기 2.0%, 연간 1.6%)을 유지한다. 특히, 8월에는 날씨 등 계절적 요인으로 전월대비 큰 폭 (0.5%)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나, 기저효과로 (지난해 8월 2.6%) 인해 7월보다 상승폭을 축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년대비 1.4 % 예상). 이는 KB증권의 연내 4분기 금리 인상 전망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 KB증권

728x90
반응형
1 ··· 59 60 61 62 63 64 65 ··· 119
블로그 이미지

일상의 도움이 되는.._$!__

주식부농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