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ck의 이해
반응형

아이폰XR의 보상 판매 시작 

아이폰 판매 부진의 원인이었던 아이폰XR의 할인 보상판매가 시작되었다. 애플 아이 폰7+을 반납할 경우 749달러에 판매되는 아이폰XR을 300달러 할인하여 449달러에 판 매한다는 내용이다. 아이폰X의 경우 999달러의 가격이 3개월만에 100달러 인하된 사례가 있으나 300달러 수준의의 대규모 할인판매는 처음이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면, 애플은 2018년 4월부터 Apple Giveback Program을 통해 아이폰7+을 최대 300달러 에 현금 보상해 주고 있기 때문에, 기존 아이폰 사용자에게 중고품 가격을 조금 더 후 하게 사례하겠다는 수준으로 파악된다. 아이폰XR 위주의 판매 부진 우리는 11월 21일 보고서에서 CY4Q18의 애플 출하량은 71.1m 으로(CY4Q17 77.3m 대 비 8% 하락), 신제품 3종의 2018년 총 판매량은 76m으로(2017년 78m 대비 2.6% 하 락) 하향 조정했다. 이번 할인 판매는 우리의 이러한 추정 변화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아이폰 출하 부진이 잘 알려진 현 시점에서는 아이폰의 판매 부진이 LCD 중심이라는 것에 더욱 주목한다. 


지난 8월 아이폰 출시 전까지 우리가 파 악한 시장 기대감은 아이폰 신제품 총 판매량 80-90m 중 아이폰 XS/XS Max가 50%, 아이폰XR의 판매가 50% 수준이었다. 현 시점에서 보면 XS/XS Max 합계 판매량은 49m으로 추정하여 기대 수준으로 판매되는 반면 아이폰XR 판매량은 27m으로 추정하여 시장 기대대비 40% 가까이 안 팔리는 것으로 판단한다. LCD 패널 재고조정과 OLED 패널 경쟁 우위 2017년 삼성디스플레이의 애플향 OLED 패널 출하량은 53m에 육박했으나 실제 아이폰 X의 2017년 출하량은 32m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된다. 65%에 이르는 주문 과잉이 있었고, 이는 1Q18에 역대 최악의 order cut으로 이어졌다. 2018년 아이폰 XR용 패널 주 문을 44m으로, 완제품 판매를 27m으로 추정하는데, 이는 63%의 주문 과잉을 의미한다. 아이폰용 LCD 패널의 경우 1Q18 OLED 만큼의 주문 감소(-50% q-q)를 예상한다. 반면 아이폰XS/XS Max는 49m의 판매와 60m의 패널 주문을 전망하는데, 정상적인 재 고 수준이라 판단한다. 무엇보다 올해 아이폰 신제품의 OLED와 LCD 비중을 50:50으 로 생각했지만, 현재는 65:35로 판매되고 있고, 내년 신제품은 최소한 60:40 이상의 OLED 편중 현상이 나타날 것이다.


OLED/트리플 카메라의 bottom-fishing 전략 우리가 3Q18 당시 신작 아이폰 전망을 다소 낙관적으로 추정하였으나 얼마 전인 11월에 전망을 수정하였고, 그 이후 OLED 진영의 상대적 성공에 주목하며 OLED와 트리플 카메라 관련주의 bottom-fishing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아이폰 서플라이체인 주식들에서 1Q19의 order cut 우려가 주가에 대부분 반영된 현 시점에 서는 향후 OLED 비중 증가가 가장 중요한 주가 동인이라 생각한다. 2019년의 경우에는 OLED 채용 제품만 트리플카메라가 장착된다고 예상하기 때문에 LG이노텍 역시 같은 아이디어가 적용 되며 BUY 투자의견을 유지한다. 또한 대표적 OLED proxy player인 비에이치와 이녹스첨단소재의 긍정적 주가 변화를 예상한다. 

728x90
반응형
일상의 유용한 Tip
반응형

2~3년 전에 구매해서 사용하고 있는 필립스 전기 면도기가 충전을 해도 한번 밖에 사용할수 없는 상태까지 왔다. 

수염이 많지 않고 가늘어 면도기의 성능보다는 가성비로 주로 구매해서 사용하였지만

면도날도 아직은 쌩쌩하고 사용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기에 버리고자 생각하니 아쉬움이 남아 

배터리 교체를 결심하게 됩니다.

면도기 배터리 교체전 가장 먼저해야할 일은 내 면도기에 어떤 배터리 규격이 들어가는지 알아야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겠죠?

그래서 인터넷 검색으로 PQ226에는 AAA사이즈 건전지 1개가 들어갑니다. 

사진상에는 보이지 않지만 에네루프 800mA 배터리를 인터넷으로 구매합니다. 

무엇보다 2000회 충전이 가능하다고 하니 한번 교체하면 2년은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9T 별렌치와 배터리 납땜을 위한 납땜기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준비하면서 와이프에 갖은 눈치를 받으며 작업을 진행합니다.

작업보다 와이프의 눈총이 너무 따가워서...

사실 와이프가 다른 면도기를 이미 구입한 상태라 재 취미활동이 되어버린...

위에 보이는 구멍에 T9 별나사 하나를 우선 분해를 합니다. 

이때까지만 해도 나사 하나만 풀면 쉽게 분해가 된다는 생각으로 진행을 하였습니다.

나사를 풀고 분해를 하려고 온갖힘을 써 보지만 절대 열리지 않을거 같은 느낌적인 느낌...

아니나다를까 위에도 T9 별나사 두개가 떡하니 자리잡고 있습니다. 

별나사 2개를 열심히 풀고 분해를 합니다. 

이번엔 더이상 풀 나사가 없기에 면도기를 부셔지라 모든힘을 다해 열어 재낍니다.

순간 "바빠빡"소리와 함께 오픈이 됩니다.

오픈된 모습입니다. 

제 면도기는 하찮은 저가형 필립스이기에 방수따윈 없습니다. ㅎㅎㅎ

모터 하나와 충전기판 하나, 배터리가 전부입니다. 

그래도 면도의 기능은 충분히 하였기에 부족함을 전혀 느끼지 않았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배터리단자를 손상시키지 않고 스폿 용접된 배터리를 분해하는것 입니다.

납땜이 생각보다 너무 잘 되어 있어 작업이 힘들 부분이 있었습니다.

기존의 배터리를 떼어내고 새로 교체될 에네루프 배터리 입니다.

배터리 양,음극을 잘 맞춰서 새로운 배터리를 교체하여 납땜질을 해줍니다.

위에 스폿용접된 부분이 잘 떨어지지 않아 절반은 절단을 강행하였습니다. 

어짜피 납땜으로 붙일 생각으로 최대한 쉽게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와이프가 새 면도기를 사놓았기에 부담없이 작업을 진행합니다. ㅎㅎㅎ

납땜질 초보라 조금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분해의 역순으로 조립후

충전단자를 연결한 모습입니다.

정상 충전 되는 모습과 작동까지 확인한 결과

나의 면도기 생명연장을 이뤄낸 사실에 기쁨을 만끽하며 작업을 마무리 합니다.

어짜피 세컨으로 사용할 면도기이기에 부담없이 작업을 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자동차
반응형

사람에게 있어 혹한기는 견디기 어려운 날씨이지만 차량에 있어서도 혹한기는 여러가지 이유로 여러가지 신경을 써 줘야 하는 계절입니다.

특히 LPG연료 차량들은 더더욱 관리와 유지가 필요합니다.

예전 LPG차량들은 시동불량 문제가 대부분이었지만 요즘 차량은 LPGI, LPI로 바뀌면서 시동불량에 대한 고민거리는 많이 사라 졌습니다.

현대, 기아자동차는 LPi방식을 쓰고 있고, 쉐보레는 LPGi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LPi방식은 GDI엔진처럼 연료를 다이렉트로 연소실에 뿌려 주는 방식이고, LPGi방식은 연료를 베이퍼라이저(기화기)에서 액화상태로 바꿔 인젝트를 통해 연소실에 뿌려 주는 방식입니다.

각각의 방식이 일장일단이 있기에 따로 언급하지는 않겠습니다. 현재 세컨카로 운행중인 스파크 또한 LPG모델이기에 겨울철 대비 연료계통과 부동액등을 관리해주고 있습니다. 특히 스파크 LPG모델은 베이퍼라이저가 한번 나가면 통으로 교환해야 하기에 공임과 부품값이 왠만한 중형차 타이밍밸트 교환 비용과 맞먹는지라 모든 스파크 LPG차주들이 가슴을 졸이며 운행하고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물론 사제로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기화기를 수리해주는 업체도 있어 사설정비업체만 안다면 크게 문제는 되지 않을것 입니다.

LPG차량에 있어서 가장 주의할 점은 시동전, 후인거 같습니다.

LPG차량이 경우 위 사진처럼 LPG스위치가 다 있습니다. 겨울철 지하주차장이 아닌 야외에 주차를 하실때는 시동을 꺼기전 LPG스위치를 눌러 연료라인에 있는 모든 LPG를 소모하여 시동이 꺼지게 해야 연료라인에 남아있는 연료가 얼어붙는 사태를 막을수 있습니다. 겨울철 대부분의 시동불량 원인이 연료라인에 남은 LPG가 얼어붙어 시동지연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추운 겨울철 차가운 액체상태의 가스가 기화기를 거쳐 또는 바로 연소실로 가는 경우 일부 기화가 되지않은 연료나, 차가운 연료로 인하여 시동지연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시동전 키온 상태로 잠시 둔후 시동을 걸거나, 키온 상태를 2~3회 반복후 시동을 걸어주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시동을 건후에도 마찬가지로 충분한 예열 시간을 가져 연료가 완전히 기화된 상태로 연소실로 가도록 해줘야 시동꺼짐이나, 엔진부조 현상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Lpi방식 차량 또한 키온 상태에서 계기판에 LPI표시등 점등되고 완전히 사라진후에 시동을 거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LPG차량에 있어서 연료필터의 관리도 중요합니다. 연료는 연료필터를 통해서 고압펌프가 있어 인젝트를 통해 분사하게 됩니다. 이때 불순물이 걸러지지 않은 상태로 인젝트까지 가게 된다면 인젝트의 분사 불량으로 인해 출력저하, 연비하락, 시동지연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LPG차량 뿐 아니라 모든 차량이 해당하는 사항으로 겨울철 자동차 배터리 관리는 결코 뺄수 없는 1순위 관리 품목인듯 합니다. 요즘 블랙박스 상시 장착이 대부분이라 겨울철 배터리 성능이 2~30%저하 된다는 점을 감안했을때 배터리의 수명이 많이 줄어든듯 합니다. 

사실 배터리의 수명은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충전량에 비해 소모량이 많아 배터리의 수명이 빨리 다하는 점도 없지 않아 있습니다. 그래서 배터리 충전기가 있다면 1~2년정도는 충전을해서 사용해도 배터리이 성능엔 아무런 문제가 없는듯 합니다. 

다가오는 겨울철 차량관리 잘하셔서 무탈하게 겨울 나기를 바라며 포스팅 마무리합니다.

728x90
반응형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풀체인지 7세대 BMW3 미리보기  (0) 2018.12.13
팰리세이드 가격과 경쟁력  (1) 2018.12.12
언더코팅 해야하나? 언더코팅에 대한 단상  (0) 2018.10.12
랜드로버 뉴 디펜더  (0) 2018.10.04
포르쉐 신형 마칸  (0) 2018.10.02
1 ··· 50 51 52 53 54 55 56 ··· 119
블로그 이미지

일상의 도움이 되는.._$!__

주식부농ㅎ